엔슈 철도 철도선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를 운행하는 17.8km의 철도 노선이다. 1,067mm 궤간에 전 구간 단선, 전철화(직류 750V)되어 있으며, 18개의 역이 있다. 모든 열차가 신하마마츠역과 니시카지마역을 각역 정차로 운행하며, 평일 러시 시간대에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12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나이스 패스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이용객이 감소하였으며, 2019년에는 연간 1,029만 명이 이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장철도 경장철도는 1909년 중국인 기술자 잔톈유의 주도로 건설된 중국 최초의 자체 설계, 건설, 관리 철도로, 베이징과 장자커우를 연결하며 험난한 지형을 극복하기 위해 지그재그 선로와 터널 건설 기술을 활용했다.
19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가베선 가베선은 JR 서일본이 운영하는 히로시마 시티 네트워크의 일부로, 산요 본선에서 분기되어 아키카메야마역까지 이어지는 총 15.6km의 철도 노선이며, 과거 일부 구간이 폐지되고 일부 구간이 전철화되어 연장되었다.
192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다큐 오다와라선 오다큐 오다와라선은 신주쿠역과 오다와라역을 잇는 오다큐 전철의 주요 노선으로, 47개 역, 전 구간 복선화, 일부 구간 복복선화 사업이 진행 중이며, 특급 로망스카 등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192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난부선 난부선은 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운영하는 총 연장 45.0km의 철도 노선으로, 가와사키역에서 다치카와역을 잇는 본선과 싯테역에서 하마카와사키역을 잇는 지선으로 구성되며, 1,067mm 협궤에 28개의 역이 있고, 1927년 개통되어 현재 E233계, E127계, 205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시즈오카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시즈오카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엔슈 철도 철도선은 1909년 762mm 궤간으로 개통되었으며, 1923년에 1067mm 궤간으로 변경되고 직류 600V로 전철화되었다. 1961년에는 전압이 750V로 승압되었고, 1967년에는 니시카지마역과 하치만역 사이에 CTC(열차 집중 제어 장치) 신호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1974년에는 신하마마츠역까지 확대 적용되었다. 화물 운송 서비스는 1976년에 중단되었다.
이 노선은 짧은 역간 거리(수백 m ~ 2km)와 잦은 운행, 비교적 저렴한 운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 근교 전기 철도이다. 전체 18개 역 중 16개 역에 교행 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선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하고 매시 상하 각 5편, 12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
2007년 가을부터 역 번호가 도입되어, 차내 노선도와 각 역의 역명판에 역 번호가 표시되고 있다. 번호는 신하마마츠역을 '01'로 시작하여 종점인 니시카지마역을 '18'로 매긴다. 이후 노선 기호 'ET'가 추가되어 'ET01'부터 'ET18'까지 표기되지만, 숫자만으로 된 역 번호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정식 명칭에 '엔슈'[4]가 붙는 역이 많지만[5], 인근 병원 이름에서 유래한 엔슈병원역을 제외하고는 각종 안내 표시나 차내 방송에서는 '엔슈'를 생략하고 안내한다.
신하마마츠역부터 가미지마역까지의 구간은 고가화되어 있다. 이 중 스케노부역 - 가미지마역 구간은 2012년 11월 24일에 고가화 공사가 완료되었다.[6] 같은 날 첫차부터 야하타역은 통근 및 통학 시간대를 제외하고 무인역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또한, 국도 152호선 우회도로와 교차하는 엔슈코바야시역 - 엔슈시바모토역 사이 구간도 2011년 10월 13일에 고가화되었다.[7]
노선 전 구간이 평야 지대를 지나기 때문에 터널은 없다. 자동차학교앞역과 엔슈시바모토역 부근의 지상 구간과 고가 구간 경계 지점을 제외하면 대부분 평탄한 지형이다. 자동차학교앞역 부근에서는 도메이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고, 엔슈간스이지역 부근에서는 신토메이 고속도로 아래를 통과한다. 노선 주변으로는 주택과 상점이 비교적 많이 분포해 있다.
자동 개찰기는 도입되지 않았으나, 유인역과 무인역 모두 자동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시간표 검색 시스템인 ET-Navi가 도입되어 있어 열차 시간 확인이 편리하다.
공식 마스코트 캐릭터로 "아카덴저"가 있으며, 각종 이벤트나 공식 웹사이트 등에서 볼 수 있다.
3. 운행 형태
열차는 기본적으로 12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다만, 이른 아침과 오후 9시 이후 심야 시간대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모든 열차가 신하마마츠역과 니시카지마역 사이의 전 구간을 운행하는 각역정차 열차이며, 중간 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구간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원맨 운전은 실시하지 않으며, 모든 열차에 차장이 승무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2량 편성으로 운행하지만, 평일 아침과 저녁의 출퇴근 시간대 열차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토요일 아침 출근 시간대의 일부 열차에서도 증결 운행이 이루어졌지만, 2017년 11월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휴일에도 하마마츠 마츠리나 하계의 가시마 불꽃놀이 등 행사가 있거나, 정월의 아키하산 본궁 아키하 신사 참배객 수송 등으로 많은 승객이 예상될 경우, 일부 열차가 임시로 4량 편성으로 증결되어 운행된다. 또한, 2017년 9월부터 매주 금요일 및 토요일 신하마마츠역 발 마지막 열차도 4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
첫차는 니시카지마역 5시 20분 발이며, 막차는 니시카지마역 23시 00분 발, 신하마마츠역 23시 40분 발이다. 매년 11월 하순부터 12월까지 이어지는 망년회 시즌에는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에 신하마마츠역 0시 00분 발 니시카지마행 임시 열차 "미드나이트 트레인"이 통상 막차 이후에 운행된다.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감소하자, 2020년 4월 25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토요일 및 휴일 운행 간격을 20분으로 변경했고, 2021년 1월 1일부터 같은 해 11월 30일까지 니시카지마역 22시 40분 발, 신하마마츠역 23시 20분 발 1왕복 운행을 중단했다. 이후 2021년 12월 1일부터 해당 1왕복 운행을 재개했으며, 토요일 및 휴일 운행 간격도 12분 간격으로 복원하여 현재는 통상 시간표대로 운행하고 있다.
4. 이용 현황
엔슈 철도 철도선의 이용객 수와 영업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승객 수송 실적은 1985년 신하마마츠역의 고가화 및 노선 변경, 운행 시간 단축 등에 힘입어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9년에는 연간 1,029만 명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이용객 수가 크게 감소하기도 했다. 화물 운송은 1976년에 폐지되었다.
영업 실적 측면에서는 여객 운임 수입이 주를 이루며, 시대 변화에 따라 수입과 비용에 변동이 있었다.
자세한 연도별 수송 실적과 영업 실적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수송 실적
(인/일)
화물 수송량 (만 t)
특기 사항
통근 정기
통학 정기
정기 외
합 계
1963년(쇼와 38년)
1116
여객 수송 실적 최고치 기록
1975년(쇼와 50년)
316.6
184.9
432.5
934.0
11,221
1.6
1976년(쇼와 51년)
305.2
180.4
437.2
922.8
10,808
0.03
화물 영업 폐지
1977년(쇼와 52년)
299.4
175.1
409.4
884.1
11,658
0.0
1978년(쇼와 53년)
297.7
175.2
412.6
885.6
10,193
0.0
1979년(쇼와 54년)
299.7
168.9
409.2
877.9
9,904
0.0
1980년(쇼와 55년)
289.7
174.6
405.2
869.6
9,586
0.0
1981년(쇼와 56년)
277.3
167.3
398.5
843.2
9,046
0.0
1982년(쇼와 57년)
262.5
153.5
394.6
810.6
8,934
0.0
1983년(쇼와 58년)
244.6
140.0
384.9
769.5
8,662
0.0
신하마마츠 - 니시카지마 구간 소요 시간 43→40분 단축
1984년(쇼와 59년)
219.3
134.6
384.0
737.9
8,371
0.0
1985년(쇼와 60년)
208.2
130.7
400.0
738.9
8,530
0.0
신하마마츠 고가 신선 개업, 신하마마츠 - 니시카지마 구간 40→36분 단축
1986년(쇼와 61년)
217.8
141.7
434.7
794.2
8,914
0.0
1987년(쇼와 62년)
222.4
146.3
452.6
821.3
9,260
0.0
1988년(쇼와 63년)
215.0
175.1
485.3
875.4
9,927
0.0
1989년(헤이세이 원년)
215.8
176.4
499.3
891.5
10,062
0.0
선불 카드 「ET 카드」 도입
1990년(헤이세이 2년)
204.0
187.7
536.3
928.0
10,476
0.0
신하마마츠 - 니시카지마 구간 소요 시간 36→32분 단축
1991년(헤이세이 3년)
203.7
189.8
564.7
958.2
10,902
0.0
1992년(헤이세이 4년)
203.4
199.4
573.4
976.2
11,417
0.0
1993년(헤이세이 5년)
197.9
196.3
582.9
977.1
11,489
0.0
1994년(헤이세이 6년)
191.8
195.7
587.1
974.6
11,552
0.0
1995년(헤이세이 7년)
189.2
189.6
588.1
966.9
11,313
0.0
1996년(헤이세이 8년)
187.8
182.0
602.9
972.7
11,314
0.0
1997년(헤이세이 9년)
189.7
169.4
593.1
952.2
10,891
0.0
1998년(헤이세이 10년)
186.7
170.1
596.1
952.9
10,949
0.0
1999년(헤이세이 11년)
183.2
166.2
586.5
935.9
10,780
0.0
2000년(헤이세이 12년)
199.6
167.3
578.7
945.6
11,022
0.0
2001년(헤이세이 13년)
197.8
170.5
584.2
952.5
11,219
0.0
2002년(헤이세이 14년)
192.9
153.7
577.3
923.9
10,916
0.0
2003년(헤이세이 15년)
195.0
163.1
576.3
934.4
10,800
0.0
2004년(헤이세이 16년)
195.2
163.2
581.0
939.4
10,986
0.0
IC 카드 「나이스패스」 도입
2005년(헤이세이 17년)
192.2
159.3
574.1
925.6
10,878
0.0
2006년(헤이세이 18년)
196.2
158.3
580.0
934.5
11,012
0.0
2007년(헤이세이 19년)
204.5
153.7
612.6
970.8
0.0
2008년(헤이세이 20년)
208.8
150.8
610.4
970.0
0.0
2009년(헤이세이 21년)
203.1
150.2
572.8
926.0
10,910
0.0
2010년(헤이세이 22년)
196.8
151.3
563.1
911.2
10,752
0.0
2011년(헤이세이 23년)
910.0
2012년(헤이세이 24년)
214.5
147.6
575.1
937.3
11,008
0.0
2013년(헤이세이 25년)
214.2
153.8
570.3
938.3
11,108
0.0
2014년(헤이세이 26년)
232.8
159.6
527.7
965.2
11,359
0.0
2015년(헤이세이 27년)
239.9
158.1
584.3
982.2
11,478
0.0
2016년(헤이세이 28년)
249.1
156.3
583.2
988.6
11,492
0.0
2017년(헤이세이 29년)
254.9
160.6
588.3
1,003.9
11,677
0.0
2018년(헤이세이 30년)
259.3
165.0
597.6
1,022.0
11,955
0.0
2019년(레이와 원년)
274.4
168.4
586.7
1,029.4
11,910
0.0
2020년(레이와 2년)
239.8
136.1
353.8
729.7
8,521
0.0
자료: 철도 통계 연보 (국토교통성 철도국 감수)
4. 2. 영업 실적
엔슈 철도 철도선의 영업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표에서 최고값은 빨간색 배경, 최고값을 기록한 연도 이후의 최저값은 파란색 배경, 최고값을 기록한 연도 이전의 최저값은 녹색 배경으로 표시했다.
5. 운임
어른 보통 여객 운임 (어린이는 반액이며, 10JPY 미만은 절상한다). 2024년 4월 1일 개정[13]。
킬로미터
운임 (엔)
첫 승차 4km
160JPY
4.1km - 5km
190JPY
5.1km - 6km
220JPY
6.1km - 7km
250JPY
7.1km - 8km
270JPY
8.1km - 9km
310JPY
9.1km - 10km
330JPY
10.1km - 11km
350JPY
11.1km - 12km
380JPY
12.1km - 13km
400JPY
13.1km - 14km
420JPY
14.1km - 15km
450JPY
15.1km - 16km
470JPY
16.1km - 17km
490JPY
17.1km -
510JPY
6. 승차권
승차권 예시 (표면)
엔슈 철도에서는 종이 승차권용 자동 개찰기를 도입하지 않았으며, 다른 회사 노선과의 연락 운송도 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磁氣) 정보가 없는 뒷면이 흰색인 승차권을 사용한다. 유인역에서는 역무원이 개찰 가위로 승차권을 확인한다.
운임은 현금(승차권) 또는 엔슈 철도 자체 IC 카드인 '나이스 패스'로 지불할 수 있다. 하지만 JR이나 다른 사철에서 사용하는 Suica, TOICA, PASMO 등의 교통계 IC 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14]
과거에는 회수권인 '철도 회수권'(2007년 7월 판매 종료)과 자기 카드 'ET 카드'(2006년 5월 판매 종료)도 있었지만, 현재는 모두 사용할 수 없다. 정기권 역시 과거의 종이 형태에서 '나이스 패스 정기권'으로 통일되었다.
3일간 유효. 엔슈 철도선 전선, 엔테츠 버스 전선(e-wing 편도 포함), 덴류하마나코 철도 전선, 하마나코 유람선
HAMANAKO 2DAYS PASS
2일간 유효. 위 HAMANAKO RAIL PASS와 동일 노선. (원래 외국인 관광객 대상이었으나 제한 철폐)[15]
이 외에도 이벤트 기간 등에 철도선 전용 1일 승차권(어른 600JPY, 어린이 반액)을 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티켓들은 유인역이나 철도 영업소에서 구매할 수 있다. 단, "HAMANAKO RAIL PASS"와 "HAMANAKO 2DAYS PASS"는 엔슈 철도 역 창구에서는 판매하지 않으며, 하마마츠역 버스 터미널(엔테츠 버스 창구)이나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덴류후타마역, 가케가와역, 신조하라역 등 지정된 장소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15]
또한, JR 도카이가 판매하는 "JR 도카이 & 16 사철 노리테츠☆타비 킷푸"도 엔슈 철도선에서 이용 가능하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프리 승차권도 판매되었으나 현재는 종료되었다.
와이드 프리 승차권: 엔슈 철도 버스·철도선 전선 이용 가능 (엔테츠 브라리 티켓으로 대체되며 폐지)[16]
엔슈로 프리 승차권: 철도선 전선과 일부 지역 제외 엔테츠 버스 이용 가능 (엔테츠 브라리 티켓으로 대체되며 폐지)[17]
엔슈 구루토 킷푸 (동부/서부 루트): 엔슈 철도선, 덴류하마나코 철도 일부 구간, JR 도카이도 본선 일부 구간 이용 가능 (2012년 3월 31일 판매 종료)
하마나코 구루토 패스: 엔슈 철도선, 버스 하마나호 주변 각 구간, 덴류하마나코 철도 일부 구간, 하마나 호 유람선 이용 가능 (2010년 3월 31일 판매 종료)
6. 1. 자동 발권기
유인역과 무인역을 불문하고 모든 역에 자동 발권기가 도입되어 있다.
2006년경부터는 터치 패널식 나이스 패스 대응 발권기가 각 역에 1대 이상 설치되었으며, 2010년 4월까지는 ET 카드 대응 발권기(도시바 제조)가 각 역에 1대 이상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각 역에는 최소 2대 이상의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부 발권기에서는 정기권 갱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나이스 패스(엔슈 철도)#정기권 참조)
7. 차량
현재 1000형과 2000형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모든 차량에는 음성 합성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차장이 탑승하며 신하마마츠역과 니시카지마역 발차 후에는 육성 안내도 병행한다.
1000형 이후 차량에는 2단 LED 안내 표시기가 채용되었으며, 하단에는 보이는 라디오를 수신하여 문자 정보가 표시된다. 자세한 내용은 엔슈 철도 버스의 LED 표시기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버스와 공통으로 사용된다.
2015년에 증차된 2000형 2006편성부터는 차내 안내 장치가 액정 2패널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차내 BGM 서비스를 실시하기도 했다.
차량에 설치된 주요 기기는 다음과 같다.
기기 종류
제조사
모델명
계통 설정기
클라리온
RCA-224-400
음성 합성 장치
클라리온
CA-2010
LED 표시기
클라리온
CY-2510 (버스와 색상 다름)
8. 역사
1909년 (메이지 42년) 12월 6일: 다이닛폰 궤도 하마마츠 지사가 하마마츠 - 카시마 구간을 궤간 762mm로 개업하였다.[18]
* 4월 1일: 하마마츠 - 카시마 구간의 궤도법에 따른 궤도선을 폐지하고, 지방 철도법에 따른 철도선[22]으로 엔슈하마마츠[23] - 엔슈 후타마타[23](현 니시카시마) 구간을 궤간 1067mm로 개궤하고 전선 전철화(600 VDC)하여 개업하였다.[23] 이 과정에서 일부 역이 폐지되고 다수의 역명이 변경되었다.
1967년 (쇼와 42년) 12월 22일: 엔슈야하타(현 야하타) - 니시카시마 구간에 CTC가 도입되었다.
1972년 (쇼와 47년) 10월 1일: 사기노미야역이 이전하고, 세키시 - 사기노미야 구간의 엔슈신무라역이 폐지되었다. 급행 운행이 폐지되고, 운행 간격이 10분으로 조정되었다.
1974년 (쇼와 49년) 3월 20일: 신하마마츠 - 엔슈야하타 구간에도 CTC가 도입되었다.
1976년 (쇼와 51년) 4월 1일: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다. 엔슈하마마츠역은 폐지되고 엔슈하마마츠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다.
1977년 (쇼와 52년) 8월 1일: 엔슈키부네역을 하마키타역으로, 키타하마역을 키타하마 중학교앞역으로 개칭하였다.
1979년 (쇼와 54년) 4월: 음성 합성 장치를 이용한 자동 방송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1980년 (쇼와 55년): 노선명이 '''카시마선'''으로 변경되었으나, 곧이어 '''철도선'''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 12월 11일: 신하마마츠 - 스케노부 구간의 연속 입체 교차 사업에 따른 고가화 공사가 시작되었다.
1981년 (쇼와 56년) 2월 4일: 신하마마츠역이 임시 역사로 이전하면서 영업 거리가 0.1km 단축되었다.
1985년 (쇼와 60년) 12월 1일: 신하마마츠 - 젠테츠하마마츠 구간의 고가 신선이 개통되어, 젠테츠하마마츠 - 스케노부 구간이 고가화되었다.[27] 다이이치도오리역이 신설되었고, 젠테츠하마마츠역은 엔슈병원앞역으로, 엔슈야하타역은 야하타역으로, 엔슈스케노부역은 스케노부역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이로써 신하마마츠 - 엔슈마고메 - 젠테츠하마마츠 구간이 폐지되고 엔슈마고메역에서의 스위치백 운전이 해소되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10월 13일: 국도 152호선 우회도로와 교차하는 엔슈코바야시역 - 엔슈시바모토역 구간(1.7km) 중 1.3km가 고가화되었다.[7]
2012년 (헤이세이 24년) 11월 24일: 야하타역 - 자동차학교앞역 구간 중 카미지마역 북쪽 마고메강 부근까지 고가화되었다.[6] 엔슈히쿠마역은 히쿠마역으로, 엔슈카미지마역은 카미지마역으로 개칭되었다.
=== 과거 직통 운행 ===
과거에는 엔슈 철도 철도선에서 국철 후타마타선으로 직통 운행이 이루어졌다. 1958년11월 1일부터 키하 800형 기동차를 사용하여 하루 4왕복 토오토미후타마타역(현 덴류후타마타역)까지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는 엔슈 철도에서 국철로의 단방향 직통 운행이었다. 1961년5월 16일에는 2왕복의 운행 구간이 토오토미모리역(현 엔슈모리역)까지 연장되었다. 그러나 수익성 문제와 차량 성능 등의 이유로 1966년 9월 말을 끝으로 직통 운행은 폐지되었다.
2007년 가을부터 역 넘버링이 도입되어, 차내 노선도와 각 역의 역명판에 역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번호는 신하마마츠의 "01"을 기점으로, 니시카시마의 "18"까지 부여되었으며, 이후 노선 기호 'ET'가 붙어 "ET01"부터 "ET18"까지 표기되지만, 숫자만으로 된 역 번호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1] 정식 명칭에 '엔슈'[4]가 붙는 역이 많지만[5], 엔슈뵤인역을 제외하고는 각종 표시나 차내 방송에서는 '엔슈'를 생략하고 안내한다.
신하마마츠역 - 가미지마역 간은 고가화되어 있으며, 이 중 스케노부역 - 가미지마역 구간은 2012년 11월 24일에 고가화가 완료되었다.[6] 국도 152호선 우회도로와 교차하는 엔슈코바야시역 - 엔슈시바모토역 구간도 2011년 10월 13일에 고가화되었다.[7]
9. 1. 폐지 구간
1985년12월 1일, 하마마츠시 중심가의 고가화에 따른 노선 변경으로 신하마마츠 - 엔슈마고메 - 엔슈하마마츠 신호장(구 엔슈하마마츠역) - 엔테츠하마마츠(엔슈뵤인역) 구간이 폐지되었다.[27] 폐지 직전의 역명 기준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